배출구에 따른 배출방식을 알아보자 _

배출구에 따른 배출방법 알아보자 _ 특수피난계단 계단통 및 옆방 연기제어시스템

특수계단통로 출구와 인접실 연기배출장치를 통한 도출은 건물 내부를 향하는 각 외벽에 배기구를 설치하여 외부와 연결하는 도출방식이다.

소방 관리자 및 소방 기술자가 되기 위한 교육 후보자는 내용을 숙지해야 합니다. 연기 제어 장치의 개념을 이해해야 당황하지 않고 까다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


■ 부록의 연기 추출 시스템의 출력에 따른 추출 절차

1. 종료

① 실제 건축물의 복도나 내부 칸막이 등으로 인하여 배수구를 통한 배수가 어려운 구조물의 경우에는 이 점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한다. 즉, 제연풍속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기구에서 유입된 공기를 정상적으로 외부로 배출시켜야 한다.

② 배기구의 경우 연막창이 배기구로 인식되지 않도록 외부 풍압에 의해 자동으로 닫혀야 한다.

③ 화재 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건물 각 측면에 설치하고 배출구 쪽으로 외부 바람이 불면 제15조에 따라 풍압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다.

④ 관제영역과 실내공간 사이에 최적의 차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기압을 최대한 대기압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.


위 그림에서 토출구 A와 토출구 B는 외부 풍압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개방해야 하며, 토출구 C와 토출구 D는 외부 풍압에 의해 자동으로 닫혀야 합니다.

2. 출력 배전반의 허용 기준

① 빗물 및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조일 것

② 바깥쪽으로만 열리고 실외 풍압에 따라 자동으로 닫힙니다.

③ 출구댐퍼는 두께 1.5mm 이상의 강판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성능을 가진 재료로 설치하여야 하며, 부식되지 않는 재료의 경우 부식방지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.

④ 상시 폐쇄된 구조로 기밀 유지

⑤ 해당 기기 및 패널에서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감지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야 합니다.

⑥ 구동부의 동작상태와 닫힘시 기밀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.

⑦ 착탈식 구조로 풍동 내부 디자인 점검 및 댐퍼 유지보수 가능

⑧ 방화층 내부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동작에 따라 해당층의 댐퍼를 개방하여야 한다.

⑨ 개통시 실제 개구의 크기(개구율로 환산)는 수직풍선도의 내부단면적과 같아야 한다.

3. 배전반 개구 면적(m²) 산정 기준.


영형 : 개폐면적(m²)

N : 전달되는 공기의 양(m/에스)

수직풍도(m/에스)

4. 수직풍속방류방식과 출구방출방식의 차이점